이번 심포지움은 저출생과 젠더평등, 현실 진단과 대응 모색을 제목으로 2024년 10월 10일(목) 오후 2시~6시에
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7층 체칠리아 홀(여성연합 유튜브 채널 생중계 동시 진행)에서 진행되었습니다.
중요한 주제인만큼 한국여성연구소, 한국여성단체연합, 한국여성학회가 공동주최하고,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이 후원하여
총 두차례 저출산/저출생 문제에 대해 섬세하고 면밀히 다룰 수 있었습니다.
이번 프로그램에서 좌장은 한정숙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명예교수님께서 맡아주셨습니다.
발표자는 총 세분으로,
먼저 이철희 (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)(발표), 이소영 (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)님 께서는 고용률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의 성별 차이에 대하여 발표하셨습니다.
두번째로 배은경 (서울대학교 사회학과/여성학협동과정 교수) 님께서는 재생산의 권리와 돌봄의 욕구 : 저출생 현상의 이면에서 삶을 찾아내기에 대해 내용 나누어주셨습니다.
다음으로 박진경 (행정학자/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사무처장) 님께서는 성평등 관점 출산율 반등 국가 연구 : 스웨덴, 독일, 프랑스를 중심으로 발표해주셨습니다.
마지막으로 이은아 (이화여대 여성학과 부교수)(발표), 신경아 (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)님께서는 ‘성 불평등’과 ‘저출생’의 불행한 만남 : 한국의 인구 위기와 청년 여성의 경험에 대해서 논의 나누어주셨습니다.
지정 토론은
송다영 (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), 김현미 (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), 홍찬숙 (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객원연구원) 님께서 맡아주셨고, 이후 질의응답 및 토론 시간이 이어졌습니다.
긴 시간에도 불구하고 뜨거운 관심과 열의가 느껴지는 시간이었습니다.
이론적이고 학자적인 관점에서 정교한 논의가 바탕이 된 해당 심포지움에서는
우리에게 그 다음 단계인 정책적 상상을 하게끔 하는 중요한 의미가 있는 자리였습니다.
자료집: 자료집_저출생과_젠더_평등_현실_진단과_대응_모색_1.pdf
유튜브 링크: https://www.youtube.com/live/goU9wB1oxxY?si=foswfCC2Qn4Jn7Ac
앞으로도 여성연합은 더 나은 토론회와 심포지움을 기획하고 준비할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.
감사합니다.